티스토리 뷰
청주시 민생회복 지원금(민생회복 소비쿠폰) 대상, 기간, 신청방법
민생회복 지원금과 소비쿠폰은 경기 침체 속 서민 경제를 회복하기 위한 정부의 대규모 정책 중 하나로, 1차와 2차에 걸쳐 신청 및 지급이 이루어집니다. 특히 2차 지급의 경우 소득 조건에 따라 대상이 달라질 수 있어 대상자 확인이 중요하며, 신청 방법 또한 수시로 달라질 수 있으므로 사전 점검이 필요합니다.
1.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개요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내수 경기 부양과 국민 생활 안정을 위한 정책성 지원금으로, 전 국민을 대상으로 지급됩니다. 정부는 이를 위해 13조 2천억 원이라는 대규모 예산을 추경을 통해 확보했으며, 전액 국비로 운영됩니다.
이 지원금은 현금이 아닌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 선불카드, 신용·체크카드 포인트 등으로 지급되며, 해당 방식은 지역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특히 백화점이나 대형마트에서는 사용이 제한되며, 전통시장 및 동네 상권 등에서의 소비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처가 정해져 있습니다. 이러한 설계는 골목상권 회복에 초점을 맞춘 것입니다.
2. 민생회복 소비쿠폰 대상자 분류
소비쿠폰은 전 국민이 대상이지만, 소득 구간에 따라 지원 금액에 차등이 있으며 일부 고소득자는 2차 지급에서 제외됩니다. 아래 표는 신청 대상과 그 기준을 정리한 것입니다.
민생회복 지원금 지급 대상 핵심 요약
지원 대상자는 전 국민이나, 소득 상위 10%는 2차 지급에서 제외됩니다.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은 우선 대상이며, 소득에 따라 지급 금액이 달라지므로 정확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대상자 유형 | 기준 조건 | 지급 대상 여부 |
기초생활수급자 | 기초생활보장법 적용 | 1·2차 전액 지급 |
차상위계층 |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 1·2차 지급 포함 |
일반 국민 | 상위 10% 제외 | 1·2차 지급 포함 |
상위 10% | 건강보험료 기준 | 1차만 지급 (2차 제외) |
소득 상위 10%의 기준은 다음과 같이 건강보험료와 자산 기준으로 판별되며, 고소득층에 대한 선별이 이루어집니다.
기준 항목 | 상세 내용 |
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 | 월 27~28만 원 이상 |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 월 21만 원~55만 원 이상 |
부동산 보유 | 공시지가 15억 원 초과 |
금융소득 | 연간 2,000만 원 이상 |
이 외에도 출생신고가 완료된 신생아는 대상에 포함되며, 미성년자는 부모 또는 법정대리인이 대신 신청할 수 있습니다. 외국인의 경우 원칙적으로 제외되지만, 일부 영주권자나 결혼이민자는 예외 적용이 검토 중입니다.
3. 지원금 규모와 인구소멸지역 포함한 차등 지급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1차와 2차로 나뉘어 순차적으로 지급되며, 지급 금액은 소득 수준뿐만 아니라 거주 지역(특히 인구소멸 위험지역 여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됩니다. 인구소멸 지역에 거주할 경우 추가 금액이 지원됩니다.
지원금 규모 핵심 요약
기초생활수급자에게는 최대 52만 원, 일반 국민은 최대 27만 원까지 지급됩니다. 인구소멸 지역 거주자는 추가로 2만 원을 더 받을 수 있습니다.
대상 구분 | 1차 지급 | 2차 지급 | 인구소멸 지역 추가 | 최대 지급액 |
기초생활수급자 | 40만 원 | 10만 원 | 2만 원 | 52만 원 |
차상위계층 | 30만 원 | 10만 원 | 2만 원 | 42만 원 |
일반 국민 | 15만 원 | 10만 원 | 2만 원 | 27만 원 |
상위 10% | 15만 원 | 제외 | 2만 원 | 17만 원 |
- 4인 가족 기준 최대 208만 원까지 수령 가능
- 인구소멸지역 거주자에 대한 추가 지원은 행정안전위원회를 통과했으며, 본회의에서 최종 확정 예정
예시 지역(84개 시·군 중 일부)
전남 강진·보성·영광·해남 외, 경북 안동·영덕·봉화·청송 외, 강원 태백·영월·화천·평창 외 등 전국 다수 지자체 포함.
4. 신청 절차 및 사용 방식 요약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신청 가능하며, 지급 방식은 지역화폐, 선불카드, 신용·체크카드 포인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신청은 정부24 또는 카드사·지역화폐 앱을 통해 가능하며, 절차가 간단하므로 디지털 기기 활용이 가능한 분들께 적합합니다. 오프라인 신청은 읍면동 주민센터나 구청을 방문하여 진행할 수 있으며, 고령자 등 디지털 취약 계층은 이 방법을 활용하면 됩니다.
신청 시 선택한 지급 수단에 따라 사용처가 다르며, 특히 지역화폐의 경우 사용 지역이 제한됩니다.
- 사용 기한은 지급일로부터 약 4개월 내
- 사용처 제한: 대형마트, 백화점, 유흥업소, 대부분 온라인몰은 사용 불가
- 사용 가능처: 전통시장, 소상공인 업소, 편의점, 음식점, 미용실, 숙박, 문화시설 등
- 양도·현금화 금지: 현금으로 인출하거나 타인에게 양도 시 제재 가능
또한, 지역화폐는 사용처에 따라 13~15% 할인 혜택이 가능하다고 알려졌으며, 이는 특히 인구소멸지역에서 더욱 높은 할인율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구분 | 시점 | 비고 |
신청 개시 | 7월 중순 | 온라인·오프라인 동시 시작 |
1차 지급 | 7월 중 | 늦어도 7월 말까지 완료 예정 |
2차 지급 | 8월 이후 | 소득 선별 작업 이후 추석 전 지급 목표 |
민생회복 지원금 신청 - 청주시 행정복지센터 (주민센터, 동사무소)
지역 | 센터명 | 주소 |
상당구 낭성면 | 낭성면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낭성시내길 21 |
상당구 미원면 | 미원면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단재로 2472 |
상당구 가덕면 | 가덕면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보청대로 4646 |
상당구 남일면 | 남일면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상당구 남일면 단재로 501 |
상당구 문의면 | 문의면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문의시내1길 8-15 |
상당구 중앙동 | 중앙동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상당구 교서로 32번길 31 |
상당구 성안동 | 성안동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상당구 대성로 72 |
상당구 탑대성동 | 탑대성동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상당구 당산로 9 |
상당구 영운동 | 영운동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상당구 단재로 129 |
상당구 금천동 | 금천동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상당구 쇠내로 50 |
상당구 용담ㆍ명암ㆍ산성동 | 용담ㆍ명암ㆍ산성동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상당구 교동로 149 |
상당구 용암제1동 | 용암제1동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상당구 중흥로 29 |
상당구 용암제2동 | 용암제2동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상당구 무농정로 47 |
서원구 남이면 | 남이면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척산길 7 |
서원구 현도면 | 현도면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서원구 현도면 선동1길 9 |
서원구 사직제1동 | 사직제1동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서원구 대원로 45 |
서원구 사직제2동 | 사직제2동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서원구 충렬로53번길 31 |
서원구 사창동 | 사창동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서원구 내수동로 108 |
서원구 모충동 | 모충동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서원구 모충로124번길 25 |
서원구 산남동 | 산남동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서원구 안뜸로12번길 42 |
서원구 분평동 | 분평동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서원구 분평로 35 |
서원구 수곡제1동 | 수곡제1동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서원구 구룡산로 322 |
서원구 수곡제2동 | 수곡제2동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서원구 수곡로 61 |
서원구 성화ㆍ개신ㆍ죽림동 | 성화ㆍ개신ㆍ죽림동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서원구 성봉로 128 |
흥덕구 오송읍 | 오송읍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가로수로 174 |
흥덕구 강내면 | 강내면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태성탑연로 433 |
흥덕구 옥산면 | 옥산면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옥산시내1길 43 |
흥덕구 운천ㆍ신봉동 | 운천ㆍ신봉동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흥덕구 사운로 216 |
흥덕구 복대제1동 | 복대제1동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흥덕구 증안로 86 |
흥덕구 복대제2동 | 복대제2동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흥덕구 신율로103번길 42 |
흥덕구 가경동 | 가경동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흥덕구 풍년로180번길 25-2 |
흥덕구 봉명제1동 | 봉명제1동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620번길 70 |
흥덕구 봉명제2ㆍ송정동 | 봉명제2ㆍ송정동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흥덕구 주현로41번길 18 |
흥덕구 강서제1동 | 강서제1동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흥덕구 가로수로 1164 |
흥덕구 강서제2동 | 강서제2동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흥덕구 송화로108번길 95 |
청원구 오창읍 | 오창읍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두릉유리로 1137-1 |
청원구 내수읍 | 내수읍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마산3길 49 |
청원구 북이면 | 북이면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신대석성로 10 |
청원구 우암동 | 우암동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청원구 향군로 34 |
청원구 내덕제1동 | 내덕제1동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청원구 새터로 71 |
청원구 내덕제2동 | 내덕제2동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청원구 충청대로 28 |
청원구 율량ㆍ사천동 | 율량ㆍ사천동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청원구 충청대로107번길 52 |
청원구 오근장동 | 오근장동 행정복지센터 | 청주시 청원구 팔결로 121 |